세상에는 수많은 원소가 있습니다. 자연계의 원소는 90여 종이고 인위적으로 만든 것까지 합치면 약 120여 종이 됩니다. 이런 원소들을 쉽게 구분하는 방법이 바로 불꽃반응 실험입니다. 오늘은 불꽃반응의 원리와 불꽃 반응 실험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불꽃 반응의 뜻 불꽃반응이란 특정한 원소를 포함한 금속을 불꽃에 넣었을 때 불꽃의 색이 화합물의 종류, 즉 금속의 종류에 따라 변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불꽃의 색깔은 포함하고 있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반대로 말하면 불꽃색을 보고 포함하고 있는 그 금속의 종류를 알 수 있습니다. 색깔이 비슷한 불꽃반응 색도 있기에 이는 스펙트럼으로 다시 분석할 수 있습니다. 2. 실생활의 예 우리 생활에서 불꽃 반응을 할 수 있는 간단..
중학교 2학년 과학의 1단원 물질의 구성 파트에서 원자와 분자에 대해 배웁니다. 이 원자와 분자는 크기가 워낙에 작아 눈을 볼 수 없어서 대부분 모형으로 설명하게 됩니다. 오늘은 이런 원자의 뜻과 원자 모형이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지 그 역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원자의 뜻 원자는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입자 입니다. 물질을 배율이 높은 고성능 현미경으로 확대하게 되면 작은 입자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확일 할 수 있는데 이 입자는 원자라고 합니다. 원자는 중심에 (+) 전하를 띠는 원자핵과 그 주변을 움직이는 (-) 전하를 띠는 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크기는 원자 1억 개를 일렬로 놓으면 그 길이가 1cm 정도 나오니 실로 작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고 그 원자의 대부분의 질량은 원자핵이 차지..
주기율표 16족, 2주기에 속하는 산소는 초등학교 6학년 여러 가지 기체에 처음으로 소개되는 기체입니다. 생물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기체입니다. 이런 산소의 역사와 특징, 산소 발생 실험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산소의 역사 화학자 카를 셸레는 잘게 쪼갠 연 망가니즈석을 황산에 녹여 가열하면서 산소를 얻었습니다. 영국의 죠셉 프리스틀리는 1774년에 렌즈를 이용해 태양 광선을 모아 붉은색 산화수은에 쬐어서 산소를 만들었습니다. 프리스틀리는 그가 얻은 산소가 물에 녹지 않고, 다른 물질의 타는 것을 도우며, 생물의 호흡에 이용되는 성질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새로운 공기라고 이름을 정하였으나 더 이상 연구를 하지 못했습니다. 그 후 프랑스의 과학자 라부아지에는 프리스틀리의 연구를 계속하여 그..
중학교 3학년 과학의 기단과 날씨 파트에서 고기압과 저기압의 차이에 대해 나옵니다. 고기압과 저기압의 기압 차이에 의해 바람이 형성되고 기압 차이가 형성되려면 기온의 차이가 있어야 합니다. 오늘은 고기압과 저기압의 뜻과 우리나라의 날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고기압 주변보다 기압이 높은 곳을 고기압이라고 합니다. 절대적인 수치로 정해진 것은 없고, 주변보다 상대적인 기압 차이가 높은 곳을 지칭합니다. 북반구와 남반구에서의 바람의 방향이 다릅니다. 우리나라가 위치한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불어 나가게 됩니다. 지면에서 불어나간 공기를 보충하게 위해서 상공에 있는 공기가 하강하게 됩니다. 이를 하강기류라고 합니다. 위에 있는 공기가 아래로 내려오니 고기압이 형성되어 있는 곳은 날씨..